본문 바로가기
  • 기랑의 백지 채우기
  • 기랑의 백지 채우기
  • 기랑의 백지 채우기
역사 노트

수학으로 푼 고지도? 언론과 학술지의 총체적인 문제다

by kirang 2018. 1. 20.

  오늘 신문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렸다.


한겨레 2018. 1. 19. "수학으로 푼 고지도...'고려, 고구려 영토까지 통치했던 나라'"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28542.html


아주경제 2017. 1. 19 "최규흥 인하대 수학교육과 명예교수, ‘월간 인물’ 게재"

http://www.ajunews.com/view/20180119090938833


  한겨레 외에도 여러 신문사에 동일 내용이 일제히 실린 것을 보면 보도 자료를 뿌린 모양이다. 신문사들은 별 생각 없이 받아쓰기를 한 것 같고. 문제는 여러 언론에 동시에 실린 이 내용이 그냥 말도 안 되는 헛소리라는 점이다.

  신문 기사의 내용을 보면 인하대학교 수학교육과의 최규흥 명예교수가 우리나라 고지도를 분석하여 논문을 썼다고 한다. 제목은 '위상수학 교육과 묘청의 고지도 분석에의 응용'이며, "교육문화 연구"Vol.23이라는 학술지에 실렸다. 검색을 해 보니 이 학술지는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잡지이고 KCI 등재지이다. 이런 터무니 없는 글이 걸러지지 않고 등재지에 떡 하니 실리고, 언론은 아무 생각 없이 받아 적으며 광고 전단지 역할을 하는 현실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최규흥 명예교수는 “고려는 압록강 이남의 조그만 영토를 가졌던 소국이라고 인지해 왔다. 그런데 2017년 8월 6일 묘청의 서경 평양성 고지도를 우연히 발견하게 됐다. 이 고지도의 둘레에 흐르는 강을 북한 평양의 대동강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지도가 나타내는 지역은 북한 평양이 아니고 지도가 가리키는 지역은 요양시 궁장령구라는 것을 이번 논문에서 증명했다”고 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엉망진창인 주장인데, 도대체 무엇인 문제인지 차근차근 살펴보자. 다음은 그가 연구에 이용했다는 지도이다.

 하지만 최규흥의 주장과 달리 이 지도는 고려시대의 것이 아니다. 19세기 전반, 즉 조선 후기에 제작된 "광여도"의 평안도 평양부 지도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홈페이지 가면 누구라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내가 방금 규장각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은 광여도이다.


  최규흥 역시 이 지도를 규장각에서 다운받았을 테니 조선 시대 후기의 지도임을 알았을 것이다. 규장각에서 제공하는 고지도 이미지에는 친절하게 해제가 다 붙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지도를 고려 시대의 것인양 왜곡해 제시하였다. 도대체 왜 이런 뻔한 거짓말을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가 연구에 활용하였다는 또다른 지도는 다음의 것이다.

  이 지도는 정확히 어떤 지도인지 바로 확인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역시 조선 시대 지도일 것으로 생각된다. 필자는 이것과 유사한 지도를 알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18세기 말 제작된 "관서지도"의 기전도이다.

 

  비교해 보면 두 지도가 같은 곳을 그린, 같은 유형의 지도임을 금방 알 수 있다. 최규흥은 이 지도가 지금의 평양이 아니라 중국 요양 일대를 그린 것임을 위상수학을 통해 증명해 냈다고 하였다. 해괴한 주장이다. 이 지도가 어디를 그린 것인지를 확인하는 데 무슨 '위상수학' 씩이나 되는 건 필요 없다. 그냥 눈만 달려 있으면 된다. 

  조선시대에는 평양 지역을 그린 고지도가 엄청나게 많다. 그리고 거기에는 평양의 지역적 특성이 아주 명확하게 표현되고 있다.  첫째는 그려져 있는 성의 형태이다. 평양 지역에는 고구려 때 조성한 평양성(고구려 때는 장안성이라 불렸다) 성벽이 일제 시기까지도 명확하게 남아 있었다. 평양성은 성벽의 전체 길이가 23km 가량이며, 북성, 내성, 중성, 외성의 4개 구역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다. 조선 후기에는 평양 지역을 그린 병풍 그림도 유행하여 많이 제작되었기 때문에 평양성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 참고가 된다.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1894년 기성도

  위 기성도 병풍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남쪽이 왼쪽, 북쪽이 오른쪽에 있는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위의 그림과 비교해 보면 같은 곳을 그린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평양 지역의 특색 두번째는 남쪽에 위치한 외성 지역에 뚜렷하게 보이는 바둑판 모양의 가로구획이다. 이것은 고구려 때의 도시 흔적이다. 고구려에서는 장안성을 건설하며 정방형의 가로 구획을 만들었다. 그 흔적이 조선시대에도 남아 있었고, 심지어 현재의 북한 평양 도심의 형태에도 이 흔적이 남아 있다. 기존의 가로구획을 따라서 도로를 내고 주거지역을 구획했기 때문이다. 다만 조선 시대에는 이 흔적이 고구려의 도시 흔적이라는 것을 몰라서 기자(箕子)가 고조선에 와 정전제를 시행한 흔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조선시대 평양의 이칭이 '기성(箕城)'인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외성 지역에 보이는 바둑판 형태는 평양 지역의 트레이드 마크인 셈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평양 위성사진 형태와 일제시대까지만 해도 원형 그대로 남아 있었던 성벽의 모습을 함께 비교해 보자.

조선총독부, 1929, 고적조사 특별보고 제5책(상)

  보이는가. 성벽의 형태와 일제 시대까지에도 선명하게 남아 있던 외성 부분의 격자형 가로구획의 흔적이. 최규흥의 주장과 달리 그가 검증에 이용한 고지도가 지금의 평양 지역을 그린 것임을 이를 통해서도 아주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니 최규흥이 했다고 주장하는 자칭 '수학적 증명'은 그냥 아무 의미 없는 바보 짓이다. 나는 이런 바보 짓이 아무런 제재 없이 등재지에 실렸다는 점에 절망감을 느낀다. 이 터무니 없는 논문의 심사를 맡아 통과시킨 자들이 누구인지는 최규흥의 논문 결론이 '고려의 평양이 지금의 중국 요양 지역에 있었다'는 것을 보면 미루어 짐작 가는 바가 있다. 자칭 '연구성과'를 낼 때마다 언론에 보도자료부터 뿌려대는 행태 역시 그 대학에 있는 누군가가 항시 해오던 수법이다. 

  나는 기자들이 더이상 이런 엉터리 선전에 놀아나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들은 지금 언론 지면을 자신들의 황당무계한 주장을 선전하는 찌라시 정도로 활용하고 있다. 언론인이라면 모욕감을 느껴야 마땅한 상황이다.


[추 가]

  마침내 '고려시대의 평양 지도'라는 것의 출처를 확인하였다. 문제의 논문에 따르면 연구에 이용한 지도가 고려시대 묘청이 난을 일으킬 당시 인종에게 바친 서경의 위상도라고 한다. 

정택선, 최규흥, 2017 '위상수학 교육과 묘청의 고지도 분석에의 응용'이며, "교육문화 연구"Vol.23-6, 275쪽.

  그런데 기괴한 것은 논문 저자가 그 대단한 지도를 이근호 저, 2011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청아출판사)이라는 대중용 개설서에서 발견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해당 책을 한번 뒤져봤다. 다행히 학교 도서관에서 e-book으로 대출 서비스가 가능한 책이었다. 그리고 실상을 확인한 나는 어이가 없어서 실소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근호의 책에는 묘청의 난을 다루는 부분에 이 지도를 실었는데, 저자는 설명문을 통해 이 지도가 조선시대 그려진 지도임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주목되는 것은 이 지도의 소장처가 '고려대학교 박물관'이라는 점이다.

  알고보니 '고려 시대' 만들어진 지도가 아니라, '고려 대학교' 소장 지도였던 것이다. 아, 이 엉망진창인 상황을 어떻게 손을 대야 할지 감도 안 잡힌다. 이게 일개 네티즌이 인터넷상에서 저지른 바보짓이라면 웃고 넘어갈 일이겠지만, 문제는 이 논문이 '정부(교육부)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사업'이라고 명시된 채 등재지에 실렸다는 점이다. 학계의 일원으로서 분개하지 않을 수 없다. 그야말로 참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