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에 대한 리뷰

영화 "나는 부정한다"

kirang 2017. 5. 1. 07:00


  국내에서 2017년 개봉한 믹 잭슨 감독의 영화이다. 

  홀로코스트를 부정하는 데이빗 어빙이라는 사람과 유대인 역사학자 데보라 립스타트 간에 있었던 실제 재판을 소재로 하고 있다. 어빙은 자신에 대해 비판적인 내용의 책을 출간한 립스타트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였다. 피고소인 립스타트는 영국 법에 따라 어빙에 대한 자신의 비판이 정당하며 홀로코스트 역시 명백히 존재하였던 사실임을 증명해야 하는 부담을 떠안았다. 너무도 당연하다고 전제되어 있는 것이 왜 당연한지를 증명하는 것은 의외로 쉽지 않다. 행여 이에 대한 법적 증명에 실패하여 어빙의 승소로 재판이 끝난다면 그 파장은 짐작조차 하기 힘들 정도였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재판은 립스타트의 승리로 끝났고, 어빙은 '홀로코스트 부정자'이자 '인종차별주의자'이자 '히틀러 옹호자'로서 규정받았다. 

  소재가 흥미롭기는 하지만, 법정 영화로서의 매력은 크지 않다. 재판의 진행 과정에서 관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극적인 전개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화는 어빙이 얼마나 부도덕한 인간인지를 묘사하는 데 공을 들인다. 지탄받아야 마땅할 인간이 활개를 치며 법을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관객의 감정을 자극하는 것이다. 어빙이 재판정에서 뻔뻔한 거짓말을 한 장면 다음에 립스타트와 변호사들끼리 모여 그 거짓말의 오류를 짚어 가며 분개하는 장면을 묘사한다든지 하는 식이다. 하지만 여기에도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 사건의 당사자인 립스타트가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변호사들에게 모든 일을 위임한 것은 다소 김이 빠지는 일이다. 이것 자체가 영화에서 중요한 갈등의 소재로 활용되고는 있으나, 주인공이 아무 것도 안 하고 앉아만 있다는 것은 극적 재미와 동떨어진 요소임에 틀림없다. 어쩔 수 없는 일이기는 하다. 실제 재판이 그러하였을 테니까. 현실의 일이라는 것은 원래 그렇게 밋밋한 법이다.

  어빙이 재판에서 지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는 그가 사료를 고의로 왜곡하여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하였다는 점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이는 신의성실의 태도를 저버린 것으로, 그의 학자로서의 자격을 의심케 하는 일이었다. 모든 학자에게는 자기 나름의 관점이 존재하고 이것은 존중받아야 한다. 하지만 자료를 조작하거나 왜곡하는 것은 이야기가 다르다. 자신이 선호하는 역사상을 증명하기 위하여 그런 행위를 하는 것은 연구가 아니라 사기에 다름 아니다. 

  영화는 관객들에게 긴장감을 부여하기 위해 재판 막바지에 하나의 불안 요소를 심어 둔다. 판사가 '어빙이 실제로 그렇게 믿을 수도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을 변호사에게 한 것이다. 즉, 어빙이 홀로코스트가 실제로 있었음을 알면서도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스스로는 정말로 홀로코스트가 없었다고 믿을 수도 있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는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도 있었던 역사 재판을 연상케 한다. 본 영화에서는 결국 '가짜 역사'를 만들어 퍼뜨린 어빙에게 철퇴가 내려졌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반대로 '가짜 역사'를 퍼뜨린 자에게 무죄 판결이 내려졌다. 물론 어빙의 경우는 본인이 고소를 한 당사자였고, 우리나라에서는 피고소인의 입장이었다는 차이가 있기는 하다. 

  영화의 완성도에 높은 점수를 주기는 어렵지만, 진실을 증명하는 일이 결코 쉽지 않으며 거짓을 밝혀 내는 일 또한 간단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