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랑의 백지 채우기
  • 기랑의 백지 채우기
  • 기랑의 백지 채우기

보부상2

보부상-부보상 논란 추가. 어느쪽이 진짜 역사왜곡인가. 앞선 포스팅에서 이미 조선 정부가 스스로 '보부상'이라라는 합성어를 만들어 사용했음을 당대 발행 책자들의 존재를 통해 증명한 바 있다. 손을 댄 김에 조금 더 찾아보았다. 다음 자료는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대한제국기 행정 공문서이다. 여기에도 보부상이라는 용어가 분명하게 등장한다. 첫번째 문서는 광무 4년(1900년) 12월 29일 의정부 참정이 동래부윤에게 보내는 것이다. 아예 문서제목에서부터 보부상이 등장한다. 두번째 문서는 광무 8년(1904) 12월 23일 문서로, 의정부 참정이 각지 관찰사들에게 보내는 공문서다. 본문 중 두번째 장의 다섯번째 줄에 보부상이라는 용어가 나온다. 당대 관료들의 글씨와 서명, 도장이 찍혀 있는 이런 자료는 조작이나 왜곡이 불가능한 것들이다.이들 자료에 따르면 보부상.. 2009. 6. 15.
보부상-부보상 논란, '부지런함'과 몰지성이 만나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 몇 년 전부터 인터넷상에서 보부상(褓負商)은 일제에 의해 왜곡된 용어이고, 부보상(負褓商)이 옳은 용어라는 주장이 떠돌고 있다. 역사 관련 사이트의 게시판들은 물론 포털의 백과사전에서 네이버 지식인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주장을 펼치는 글들이 앵무새처럼 도배되곤 하는데, 이게 주로 경기대학교에서 이훈섭 교수의 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조직적인 행동인 모양이다. 그런데 그 논리가 참으로 해괴하다. 다음은 인터넷에 떠도는 예의 그 부보상 관련 글이다. 부보상(負褓商)의 용어가 보부상(褓負商)으로 왜곡 둔갑된 연유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사농공상의 일본식 서열개념으로 조선왕조의 중상정책을 폄하(貶下)하기 위한 역사왜곡과 식민정책을 합리화시키기 위하여 일제에 최후까지 반항한 부보상의 민족정신을 말살하려는 술책에 기인된 것.. 2009.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