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랑의 백지 채우기
  • 기랑의 백지 채우기
  • 기랑의 백지 채우기
모든 것에 대한 리뷰

책 "학문의 제국주의"

by kirang 2012. 2. 2.

폴 A. 코헨 (지은이) | 이남희 (옮긴이) | 산해 | 2003-07-30

"학문의 제국주의"는 미국에서 이뤄지는 중국사 연구에 대한 사론을 담고 있다. 그에 따르면 미국에서 행해지는 전통적인 중국사 연구는 철저히 중국을 타자화한, 오리엔탈리즘에 입각한 것이다. 내용에 따라서 세 종류의 패러다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첫번째는 '충격과 반응', 두번째는 '근대화론', 세번째는 '제국주의론'이다.

'충격과 반응'의 핵심은 중국 근대사는 곧 능동성으로 대표되는 서구의 충격에 대한 중국의 수동적인 반응이라는 개념이다. 이러한 시각을 바탕으로 그 다음 패러다임인 '근대화론'이 구성되는데, 서양의 충격이 있기 전의 중국은 변화와 개혁이 전무한 정체된 사회였고, 서양의 자극으로 비로소 근대로 발전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세번째 제국주의론은 이러한 '근대화론'에 대한 적극적인 비판의 입장에서 제기된다. 서양이 가한 자극은 앞에서의 시각과 반대로 중국의 근대화를 방해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았다는 시각이다.

코헨은 세 입장을 모두 비판하고 있다. 특히 세번째 '제국주의론'은 기존의 '근대화론'과 대립각을 세우며 형성한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서양의 자극 이전의 중국을 정체된 사회였다고 보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화론과 같은 기반 위에 서 있다고 지적한다. 코헨이 궁극적으로 제시하는 방법론은 중국사를 내부에서 바라보자는 것이다. 자료들을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면 중국의 역사는 결코 정체된 것이 아니었고, 중국 근대사의 전개 과정에 있어서 서구의 역할은 실제 이상으로 과장되어 왔다는 것이다.

외부자의 시각 대신 내부자의 시각을 반영하자는 저자의 주장은 타당하다. 균형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코헨의 주장에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무엇보다 근대의 성립 요건에 대한 명확한 정리가 필요하다. 저자는 서구의 자극이 중국 근대사 전개에 미친 역할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고 말하며 중국사의 자체적인 변화를 이야기하지만 그 변화의 실체가 무엇인지 불분명하다. 서구의 자극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었다는 중국의 내부적 변화는 산업화와 민주정 확립으로 대표되는 근대화로의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을까? , 서구의 자극이 없더라도 중국이 자본주의화의 길을 걷거나 사회주의 혁명을 수행했을 수 있었을까? 만약 자본주의와 민주정의 확립을 근대의 요건으로 규정하는 것 자체가 서구 체제의 우월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그런 편견에서 벗어난 근대상은 과연 무엇일까?

이는 어려운 질문이다. 걸어보지 못한 길의 풍경을 묘사해보라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구의 충격이라는 요소의 중요성을 재정립하자는 것이 저자의 의도라면, 중국이 독자적으로 전개하고 있던 역사적 방향성에 대한 검토는 역시 피할 수 없는 작업이다. 이는 앞으로 섬세하고도 실증적인 자료 분석을 통해 극복해야 할 난제라고 할 수 있겠다.